
(서울=뉴스1) =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된 현(現)시점이야말로 효과적인 기업구조조정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적기"라고 밝혔다.
윤 원장은 7일 오후 자본시장연구원 주최로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업부문 취약성 : 진단과 과제'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통해 "현재 국내 경제 환경에선 기업의 사업구조 전환 및 재편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원장은 또 "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일단락되면서 금융지원이 종료될 때 잠재 부실이 일시에 현재화되는 절벽효과(Cliff effect)를 대비하면서 국내 경제의 연착륙을 위해서도 선제적 기업 구조조정은 꼭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기업 구조조정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구조조정 주체인 기업, 플레이어인 자본시장, 채권은행 모두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기업이 구조조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탈피해 적기 구조조정을 통한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재무·사업위험을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 시 외부 컨설팅을 통해 사업구조 재편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채권은행 중심의 재무 구조조정은 한계에 봉착했기에 기업의 주치의로서 건강검진 역할에 주력하면서 구조조정 전문의인 시장 플레이어와의 연결로 역할 변경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윤 원장은 "채권은행은 더 이상 단기 성과에만 집착하지 말고 기업 선별 기능을 강화해 선제적 구조조정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야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기업 부문 위험이 금융 부문에 전이되지 않도록 은행 스스로 기업의 신용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고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당국은 연말 금융지주사의 배당 시즌을 앞두고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을 감안해 예년보다 배당을 축소할 것을 권고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