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은 "국익을 위한 주도적 결단이고 이것을 굴종·굴욕이라는 비하하는데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진 장관은 21일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은"12년 만에 열린 한일 정상회담이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들의 반발도 예상했지만 시작은 정부의 제3자 변제 해법에 대해 야당과 상의한 적 없느냐, 야당이 대일 관계에 있어 대안을 제시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또 정진석 의원은 위안부 '강제징용 문제는2018년 대법원 판결 이훼 문재인 정부는 근본적으로 해결한다고 했지만 해결하지도 못하고 손을 놓고 있었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 국익에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결단하고 제3자안도 문희상 전 국회의장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것이고 조심조심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서 접근하고 있는데 거리에서 침을 튀기며 비판받아야 하느냐"고 물었다.
박진 장관은 "이 문제를 일본과 이야기하면서 소위 대한민국의 높아진 위상과 국력을 바탕으로 스스로 제3자 변제를 통해서 풀고 한일관계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미래의 파트너십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판단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야당 의원들에게 구체적으로 보고드리지 못했지만 전체적인 방향은 한일관계를 미래로 가기 위해 제3자 변제 방안 밖에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박진 장관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정부 해법안 찬반 여부와 관련 질문에 "강제동원 피해자 생존자와 유가족분들을 만나본 결과를 보면 상당수의 과반 이상분들이 정부의 해법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박진 장관은 야당 의원의 일본 외무상의 '강제동원 없었다'는 발언에 대해 "외교채널을 통해 항의하고 유감 표시했으며 구체적인 답변 내용을 말씀드리지 못하지만 일본의 정치적 상황도 관련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진 장관은 "'강제노동에 관한 조약상 강제노동은 없었다'고 애기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것은 정말 대단히 좁은 일본 법률적 생각인지 모르지만 한국으로서는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해할 수 없다고 항의하고 유감표시했다"고 밝혔다.
구영회 기자 asianews24@gmail.com
<국제뉴스에서 미디어N을 통해 제공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