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노자-개역한글성서에서 노자로 번역된 새는 개역개정과 새번역성서에서는 가마우지로 번역되었다. 노자는 가마우지이다. 따라서 노자나 가마우지나 틀린 번역이 아니다. 히브리어 ‘샬라크’는 물고기를 잡아먹는 새를 가리키는데, 공중에서 물로 곤두박질치면서, 혹은 깊이 잠수하여 고기를 잡는다.
3. 부엉이-개역한글과 개역개정성서에서 부엉이로 번역된 새는 새번역성서에서는 따오기로 번역되었다.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안슈프’는 ‘콧김을 분다’라는 뜻의 ‘나샤프’에서 파생되었으며, 황폐된 곳에 살면서 밤이면 ‘우후푸후’ 하는 소리로 우는 부엉이를 가리킨다. “펠리컨과 고슴도치가 그 땅을 차지하겠고, 부엉이와 까마귀가 거기에서 자리를 잡을 것이다. 주님께서 에돔을 "혼돈의 줄"과 "황무의 추"로 재실 터이니, 에돔을 창조 전처럼 황무하게 하실 것이다.”(새번역 이사야 34:11). 여호와의 심판을 받아 완전히 폐허가 된 여호와를 대적하는 세력들, 곧 에돔의 황량한 모습을 묘사할 때에 부엉이와 까마귀가 사는 곳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굳이 새번역성서를 펼쳐본 이유가 있다. 새번역성서 레위기 11장 17절과 신명기 14장 16절에서 따오기로 번역한 것을 이사야 34장 11절에서는 부엉이로 번역하지 않았는가!
4. 따오기-개역한글성서에서 따오기로 번역된 새는 개역개정성서에서는 흰올빼미, 새번역성서에서는 백조로 번역되었다. 이렇게 달리 번역된 히브리어 ‘틴셰메트’는 ‘숨을 내쉰다’라는 뜻의 동사 ‘나샴’에서 파생되었으며, 밤에 슬피 우는 작은 올빼미를 가리킨다. 따라서 흰올빼미가 가장 적절한 번역이다. 따오기나 백조는 잘못된 번역이다.
5. 당아-개역한글성서에서 당아(塘鵝)로 번역된 새는 개역개정성서에서 레위기 11장 18절에서는 사다새, 신명기 14장 17절에서는 당아로 번역되었다. 새번역성서에서는 펠리컨으로 번역되었다. 히브리어 ‘카아트’는 폐허나 광야에서 떼지어 사는 펠리컨 종류의 새를 가리킨다. 이 새는 밤이면 구슬피 우는 습성이 있는데, 시편 102편 6~7절에는 밤에 외로이 우는 당아새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사다새나 당아는 펠리컨 종류의 새를 가리킨다. 영명으로 사다새는 Spot-billed Pelican이다. 따라서 당아나 사다새나 펠리컨이나 적절한 번역이다.
6. 올응-개역한글성서에서 올응으로 번역된 이 새는 개역개정성서에서 레위기 11장 18절에서는 너새, 신명기 14장 17절에서는 올응으로 번역되었다. 새번역성서에서는 흰물오리로 번역되었다. 이렇게 달리 번역된 히브리어 ‘라함’은 주로 늪지대에 살며, 흰털 바탕에다 검은 날개, 대머리 모양을 한 독수리 종류의 새를 가리키는데, 썩은 고기와 오물을 먹고 산다.
너새나 올응은 두루미목에 속한 느시과의 들칠면조, 곧 느시를 가리킨다. 공동번역성서를 찾아보면, 레위기 11장 18절에서는 흰물오리라고 번역했지만, 신명기 14장 17절에서는 흰독수리라고 번역하였다. 그런데 흰물오리나 흰독수리는 도대체 어느 새를 말하는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올응이나 너새가 적절한 번역이다.
저작권자 © 크리스챤월드리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