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은 작년 대비 5.6%↓
[화이트페이퍼=김새봄 기자] 삼성전자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8조1천46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3.4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52조9천661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63% 감소했다. 순이익은 5조5천551억원으로 7.23% 늘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시장의 예상을 훨씬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보여준 데 이어 이날 잠정실적보다 더 좋아진 확정실적을 내놓았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뿐 아니라 다른 사업 부문도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전자 2분기 실적발표를 앞두고 증권사들은 일제히 컨센서스를 샹향조정했으나, 8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예측한 곳은 없다.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부문은 영업이익 5조4300억원, 매출 18조23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 4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들어 서버 D램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언택트) 수요 확대로 반도체 부문을 높은 실적을 보였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무선 모바일(IM) 부문은 영업이익 1조9500억원, 매출 20조7500억원을 냈다. IM 부문 영업이익은 1분기(2조6500억원)보다는 1조원 가까이 줄어든 것이지만 작년 동기(1조 5600억원)보다는 약 4천억원 많은 수준이다.
스마트폰 출햐량이 기대치를 상회했고, 코로나 영향으로 마케팅 비용이 대폭 줄면서 예상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TV·생활가전 등 CE 부문 역시 코로나19로 직접 타격을 받았던 북미, 유럽지역 오프라인 매장 재개장과 국내 성수기 진입, 프리미엄 수요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 7300억원, 매출 10조 170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 부문(삼성디스플레이)은 당초 1분기에 이어 적자가 유력하다고 예측됐으나, 일회성 이익의 반영으로 3억원의 흑자를 냈다. 업계에서는 아이폰 판매 부진으로 OLED 패널 수요가 줄어든 데 대해 애플이 삼성에게 보상금을 약 1조원 지급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삼성은 “DP 부문 중소형 패널의 경우 스마트폰 수요는 감소했으나 일회성 수익 발생으로 전 분기 보다 이익이 증가했다”며 “대형 패널은 TV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모니터 판매가 확대하며 적자 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삼성이 2017년 인수한 하만은 2분기 영업손실 900억원을 기록했다. 소비자 제품의 일부 수요 회복 등으로 전 분기인 1900억원보다는 적자가 축소했으나, 세계 자동차 업황 악화로 적자가 지속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은 DP부문 일회성 수익 약 1조원(추정치)을 제외해도 7조원 이상이다. 업계는 당초 예상했던 코로나 충격은 사실상 없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3분기 실적은 낙관할 수만은 없다. 3분기에는 스마트폰·TV 수요가 더욱 회복하고 디스플레이도 신규 스마트폰 생산 확대와 맞물려 실적이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선 나온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업계 경쟁은 가속화되고 있다.
DP 부문은 주요 고객사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 호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3분기는 중저가 스마트폰 중심으로 시장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돼 본격적인 실적 개선 시점은 4분기가 될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또한 반도체 부문은 상반기 쌓인 재고 때문에 하반기에는 메모리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실적 호황을 이어갈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 들어 영업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하만은 하반기 자동차 업황 개선, 컨슈머 오디오 판매 확대로 실적 개선을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