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에서 억류된 북한 선박 청천강호 사건과 관련, 북한과 쿠바의 거래에 의문이 일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 보도했다.
WSJ는 “쿠바가 북한에 수리를 부탁했다는 미사일과 레이다 부품, 미그 21 Bis 전투기 엔진 등 240톤의 무기들은 생산된지 50년이 넘은 구형”이라며 “무기를 감추기 위해 덮은 총 25만포(1만톤)의 설탕은 수리 대금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저널은 미국 정부가 “새로울게 없다. 아주 낡은 무기들”이라며 이번 사건에 무게를 두고 있지 않지만 최근 북한의 관리들이 쿠바를 방문한 것은 SA-2 레이다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는 계약을 맺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한가지 중요한 의문은 왜 쿠바가 러시아산 무기들의 수리를 러시아에 의뢰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일부에선 러시아가 적은 양의 무기수리때문에 미국과 불필요한 긴장을 불러일으킬 필요가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고위관리는 “러시아가 고민거리를 만들 필요가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또다른 분석으로는 북한이 러시아보다 좋은 조건을 제시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금대신 현물(설탕) 지불조건을 받아들인 것도 쿠바로선 이득이 됐을 수 있다. 비용절감 부분이 북한 선적의 나포 위험보다 가치있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는 점이다.
저널은 비록 SA-2 레이다의 성능향상이 카리브해에서 힘의 균형을 변화시키지 않는다해도 이번 차단은 북한의 위험한 무기기술 증식을 차단하겠다는 미국의 의지를 말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부시정부 시절 국무차관이었던 로저 노리에가는 서방의 반미국가들은 북한과 이란같은 미국의 적들이 가까이 다가오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걱정스러운 것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우리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식무기 선적은 빙산의 일각이다”라고 경고했다.
클린턴정부 때 국가안보위원회 관리를 지내고 현재 브루킹스연구소에 있는 테드 피콘은 미국은 쿠바가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군사적 자신감을 갖고 있지만 이번 선적의 목적에 대해 유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상교통모니터링 회사인 IHS 페어플레이의 리처드 헐리 수석분석관은 “지난해 북한 선박 ‘어은 청년호(O Un Chong Nyon Ho)’가 청천강호와 마찬가지로 파나마 운하를 통한 해상 경로를 이용했다”고 전해 눈길을 끌었다.
파나마의 호세 라울 뮬리노 안보장관은 이번 사건은 북한과의 무기거래를 엄격히 규제한 UN안보리의 제재와 관련된 문제라면서 UN이나 다른 적법한 자격을 가진 전문가들이 이 무기들을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의 국무성 대변인도 파나마당국이 이 무기들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의 도움을 요청했으며 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뮬리노 장관은 “쿠바가 무기를 파나마 운하를 통해 보내려한 것은 아주 잘못된 일”이라며 “무기를 위장하고 신고도 안한 것은 전통적으로 우호적이었던 파나마와 쿠바의 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사건은 17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국과 쿠바간의 이민관련 회담을 앞둔 미묘한 상황에서 터졌다. 쿠바 난민 출신인 공화당의 일리에나 로스-레티넨(플로리다) 의원은 전날 미국이 이번 회담에서 손을 뗄 것을 요구했다. 로스-레티넨 의원은 민주당의 로버트 메넨데스(뉴저지)와 함께 쿠바를 테러리즘지원국가 리스트에 남겨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WSJ는 “이번 사건은 옛 소련시절부터 돈독한 사이였던 쿠바와 북한의 긴밀한 관계를 말해준다”면서 “두 나라는 1960년 외교관계를 맺고 고위 관리들이 정기적인 회담을 갖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북한과 쿠바의 거래에서 한가지 시사점은 북한이 미사일과 핵기술에 전력을 기울이면서도 구식 하드웨어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UN 대변인은 “청천강호가 무기와 그에 준하는 설비를 수송한 것이 확인된다면 UN 제재를 위반한 것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뉴시스】